한성 U13S for Ubuntu(우분투) 역경과 고난의 사용기
v0.2 : 우분투 12.04 무선랜 v0.5 : 사용기 추가 v1.0 : 노트북 용도를 서버로 변경하여 글을 잠금 v1.1 : 문서 구조 및 오탈자 추가
1. 한성 U13S 구입
서울 출장이 많아져서, 작은 노트북이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다. 집에 13인치 맥북이 있지만, 가방에 맥북을 넣고 서울 출장을 가는건 그야말로 고난의 행군이 되었다. 그래서 작은 노트북, 그것도 11인치 이하 노트북을 찾아보고 있었다.
일단 11인치 노트북 하면 맥북에어가 나의 머리속을 스쳐지나갔지만, 아쉽게도 맥북은 운영체제 덕분에 제외되었다. 첫쨰, 맥북은 OSX라는 멋진 UNIX 기반의 운영체제가 있지만,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운영체제는 우분투 리눅스였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는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인 Arch, Debian 등 를 사용하고 싶었다. 둘째, 가격의 압박도 만만치 않았다. 노트북 구매에 가용할 수 있는 최대 자금은 35만원이었는데, 이 정도 금액이면 맥북에어 SSD 업그레이드 비용정도 밖에 되지 못한다. 더욱이 집에 13인치 맥북이 있기 때문에 또 다른 맥북을 구매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었다(
추가 : [2013.08.27] 그럼에도 불구하고 맥북에어 13인치를 하나 더 구매했다. 한성 U13S는 매우 훌륭한 기기임에도 불구하고, 터치패드의 성능이 너무 좋지 않아서(사실상 마우스 없이 사용이 불가능하다 판단했다.) 맥북의 터치패드를 잊지 못해서 맥북을 구매하였다(맥북의 터치패드가 좋은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사용하는 기존의 터치패가 엄청 구린것이다).
추가 : [2014.11.20] 만약 11인치 이하의 노트북이 필요하다면 그리고 그 노트북에 우분투를 설치해야 한다면 맥북에어를 사야한다. 다른 대안은 의미없다.
35만원 정도의 11인치 노트북은 에이서의 AO756 씨리즈와 한성에서 출시한 U13 씨리즈 정도가 있다. 당연히 비슷한 가격에 램을 2기가 더 주는 한성 제품인 U13S를 선택했다. 하지만 U13S의 경우 mSata가 빠져 있기 때문에 아쉬움이 남는다. 그렇다고 11인치 노트북에 SSD를 설치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의지도 없었기 때문에 램을 더 주는 한성의 U13S를 선택하였다.
추가 : [2013.08.27] 하드를 버리고 SSD를 달았다. 체감성능이 완전히 올라간다. 저사양 노트북의 가장 좋은 업그레이드는 SSD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신형 U13S는 mSata가 포함되어 있으니 참고하자. 그리고 대부분의 사용기에 ‘소음’이 매우 적다고 해서 반신반의 했는데, 생각보다 소음이 적어서 마음에 들었다. 그러나 ‘발열’은 좀 있다. 특히 ‘트랙패드’ 주변에 발열이 있으니 이 점은 미리 알아두도록 하자(사실 발열이라 말하기 부끄럽다. 엄청 뜨거워서… 그냥 손이 불타오를 것 같다).
추가 : [2014.11.20] 램보단 SSD가 컴퓨터 성능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외관은 메탈의 ‘필’을 충만하게 담고 있다. 색도 검고, 나름대로 멋진 ‘패턴’도 있으니 이 정도면 무난하다고 생각한다.
한성 노트북을 상징하는 저 아름다운 ‘별’ 덕분에 굉장한(!) 별명이 붙어버렸지만, 한성에서 출시한 13인 제품에 부착된 로고에 비하면 고급스러움이 느껴질 정도라서 감사하다.
11인치 이기 떄문에 작고 가볍다. 그리고 화면도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화면 아랫쪽에 뭐가 오묘한 이름이 붙어 있다.
‘Del’키가 생각보다 작다. 그러나 ‘Insert’키가 있다는 점에 대해서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다.
윈도우8을 지향하는 노트북(!) 이란 느낌을 주는 윈도우키
한영키와 한자키가 존재한다. 하지만 오른쪽 ‘Shift’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오타가 출몰한다.
HDD, 베터리 및 전원 연결에 관련된 표시등이 전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별 볼일이 없다. 있다는 것 정도에 만족하자.
부팅 중에 ‘F2’키를 누르면, BIOS에 진입한다. CPU 모델과 장착된 램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윈도우 XP 설치를 위한 ‘SATA MODE’는 ‘Advanced’에 존재한다.
요즘 한창 잘 나가고 있는 UEFI 세팅도 가능하다.
부팅 중 ‘F7’을 누리면 만나게 되는 부팅 옵션이다. ODD가 없기 때문에 USB 설치를 위해서 꼭 알아두어야 한다.
2. 우분투 설치하기
- ‘http://ftp.daum.net/ubuntu-releases/14.04.1/’에 가서 ‘ubuntu-14.04.1-desktop-amd64.iso’ 파일을 다운 받는다.
추가 : [2014.11.20] 12.04.02 버전에 대한 내용을 14.04.1로 변경
- Universal USB Installer(http://www.pendrivelinux.com/universal-usb-installer-easy-as-1-2-3/)를 사용해서 우분투 ISO를 USB를 이용해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추가 : [2014.11.20] 최신버전을 다운받아서 진행하도록 하자.
세부사항은 아래와 같다.
(1) ‘I Agree’ 버튼을 눌러주시면, 다음화면으로 진행됩니다. 이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에 설치하는 것이 아닌 단독 실행 파일이므로 바로 설정 화면으로 진행됩니다.
(2) Step1에 설치하고자 하는 우분투 버전을 선택하고, Step2에는 다운받은 ISO 파일을 ‘Browse’ 버튼을 이용해서 선택해주세요. Step3는 USB를 지정해주시고 ‘Create’ 버튼을 눌러주면 다음화면으로 진행됩니다.
추가 : [2014.11.20] 우분투 버전에 알맞게 선택하도록 하자!
(3) 설치 USB를 만들기 위한 정보를 안내하고, 설치 USB를 만들 것인지 물어봅니다. ‘YES’ 버튼을 누르면 진행 화면이 나타납니다.
(4) 모든 작업이 끝날 때까지 차분하게 기다립니다.
(5) 작업이 끝나면 ‘Close’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우분투 설치를 위한 USB가 만들어졌습니다.
-
USB를 USB Port에 삽입하고, 노트북을 킨 다음 F7을 눌러서 자신의 USB를 선택하자.
-
우분투 리눅스를 설치하도록 하자.
(1) 본인은 안드로이드 개발을 위해서 우분투 리눅스를 선택하였기 때문에, 개발에 유용한 영어(English)로 설치하였다. 일반적인 환경에서 사용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한국어’로 선택하시면 좀 더 수월한 설치가 가능하다.
(2) ‘Install Ubuntu’를 선택하자.
(3) 멋진화면이 나오고, 영화에서 나올 법한 ‘주르륵’이 눈 앞에 펼쳐진다.
(4) 영어로 설치하기 떄문에 ‘English’를 선택합니다.
(5) U13S는 기본적으로 ‘무선랜’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설치 중에 업데이트를 할 경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기 떄문에 ‘Download updates while installing’은 선택하지 않고, 아래의 체크박스만 선택합니다.
(6) 윈도우와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분들은 사용자가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설정해도 되지만, 우분투 리눅스만 사용하고자 하는 분들은 하드디스크 전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7) ‘Select drive’에 하드디스크 선택하시고, ‘Install Now’ 버튼을 누르세요.
(8) 설치를 시작합니다.
(9) 살고 계신 국가를 선택하세요.
(10) 키보드는 ‘Korean’의 ‘101/104키 호환 모드’를 선택합니다. 설치가 끝나고 한글 설정을 할 때, 키보드의 ‘한글’키를 이용해서 한/영 전환을 하기 위해서 ‘Korean - 101/104’를 선택합니다.
(11) 자신의 이름, 컴퓨터 이름,계정명,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Continue’를눌러서 설치를 계속합니다.
(12) 설치가 진행됩니다.
(13) 설치가 진행완료 되었습니다.
(14) USB를 뽑으시고, ‘Enter’를 누르면 컴퓨터가 리부팅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