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혁명의 구조
“나는 이 책에서 제시된 견해들이 진리임을 확신하지만,… … 오랜 세월 동안 나의 견해와 정반대의 관점에서 보아왔던 다수의 사실들로 머리 속이 꽉 채워진 노련한 자연사학자들이 이것을 믿어주리라고는 전혀 기대하지 않는다. … … 그러나 나는 확신을 가지고 미래를 바라본다. —- 편견없이 이 문제의 양면을 모두 볼 수 있을 젊은 신진 자연사학자들에게 기대를 건다.”
1
책 제목보다 ‘패러다임’이란 단어로 더 유명한 ‘과학혁명의 구조’를 커서 다시금 읽게 되었다. 어릴때는 뭔 말인지 모르고 잘도 읽어내려가던 것이 이젠 ‘한 구절, 한 구절’ 눈길을 잡아 끈다. 나이가 들었고, 볼 수 없었던 세상의 다른 차원에서 알게된 어떤 지식이 그 문장을 사로잡고 있는 것 같다.
2
이 책이 왜 고전의 반열에 올라갔는지는 내가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의하긴에 지식의 한계와 언어의 무제한적인 감각 떄문에 뭐라 딱히 말하진 모르겠지만, 다시 번역해야 된다는 주장에 대해선 무조건 동의한다.
-
아마도 과학은 개별적인 발견과 발명의 축적에 의해서 발달되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와 동시에 바로 이들 학자들은 과거의 관찰과 믿음에서 온 “과학적인” 요소를 그들의 선대 과학자들이 주저하지 않고 “오류”와 “미신”이라고 못박았던 것들로부터 구별짓는 데에서 점차 곤경에 빠지고 있다. […] 과학사학자들은 자연에 대해서 그 당시를 풍미하던 견해들이 전반적으로 보면 오늘날 받아들이는 것보다 덜 과학적인 것도 아니요, 인간의 특이한 기질의 산물도 아님을 느끼게 된다. 시대에 뒤지는 이러한 믿음을 신화라고 부르기로 한다면, 신화는 현재에도 과학적 지식에 이르는 동일 유형의 방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고, 동일 유형의 이치에 의해서 생산될 수 있다.
-
[…] 자연사는 그 어느 것도, 선택이나 평가 그리고 비판을 허용하는 이론적 및 방법론적 신념이 서로 얽힌 최소한의 함의된 본체가 없이는 해석해낼 수가 없다.
-
[…] 그렇지만 교과서가 주어지면 창의적인 과학자는 그 책이 끝나는 곳에서 연구를 시작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학파의 관심을 끄는 자연 현상에 대한 가장 미묘하고 해득하기 어려운 측면에 전적으로 집중할 수 있다.
-
양자역학이 과학자들 각자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의 문제는 그가 무슨 과목을 택했는가, 어떤 책들을 읽었는가, 어떤 문헌을 공부하는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
[…] 무엇인가를 발견하는 것도 일회적인 단순 행위라고 암시함으로써 오해를 유발시킨다.
-
[…] 산소이건 X선이건 어느 것도 실험과 동화라는 과정을 차근차근 더 밟지 않고는 출현하지 못했다.
-
[…] 등고선 지도를 보면서 학생은 종이 위에 그려진 선들을 보지만, 지도 제작자는 지형에 관한 그림을 본다. […] 그것은 환경 그리고 학생이 추구하도록 훈련받았던 특정 정상과학의 전통에 의해서 연합적으로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