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철학 논고
철학적 문제들의 궁극적 해결은 우리의 언어를 명료화하는 가운데 우리의 삶을, 그러니까 우리의 언어와 사고와 세계(의 한계)를 바꾸는 것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아마도 그의 실존적 체험과 연결된 깨달음 또는 신념에 있을 것이다.
1
도통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지만, 알고 싶었던 그의 편린들
러셀의 서론은 «논고»가 출판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었으나, 그 내용에 만족하지 못한 비트겐슈타인이 서론으로 싣기를 거부하였을 정도로 중요한 문제점을 안고 있기도 하다. 이 서론은 영국 쪽에서 출판된 «논고»에는 앞부분에 실려 있고, 독일 쪽에서 출판된 기존의 «논고»에는 빠져 있다. 맥기니스와 슐테의 비평본은 러셀의 서론을 부록으로 싣고 있는데, 이제는 이것이 온당한 처사라고 생각된다.
-
1 세계는 일어나는 것의 모든 것이다. / 1.1 세계는 사실들의 총체이지, 사물들의 총체가 아니다.
-
- 일어나는 것, 즉 사실은 사태들의 존립이다. / 2.012 논리에서는 아무것도 우연적이지 않다.; 사물이 사태 속에 나타날 수 있다면, 그 사태의 가능성은 사물 속에 이미 선결되어 있어야 한다. / 2.0123 내가 대상을 알고 있다면, 나는 그것이 사태들 속에서 나타날 가능성도 전부 알고 있다.(이러한 모든 가능성은 대상의 본성 속에 놓여 있어야 한다.) / 나중에 가서 새로운 가능성이 발견될 수 없다. / 2.01231 어떤 한 대상을 알기 위해 내가 그 대상의 외적 속성들을 반드시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나는 그 대상의 내적 속성들은 모두 알아야 한다. / 2.0124 모든 대상들이 주어진다면, 그와 더블어 모든 가능한 사태들도 주어진다. / 2.013 모든 사물은 말하자면 가능한 사태들의 공간 속에 있다. 나는 이 공간을 텅 비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물을 그 공간 없이 생각할 수는 없다. / 2.02331 한 사물이 다른 어떤 사물도 지니지 않는 속성들을 지니는 경우, 그 사물은 즉시 기술을 통해 다른 사물들로부터 도드라지고 지시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사물이 그것들의 모든 속성들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존재하는 경우, 그 사물들 중 하나를 가리키는 것은 전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사물이 어떤 것에 의해서도 부각되어 있지 않다면 나는 그것을 부각시킬 수 없기 때문 -왜냐하면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어쨌든 부각되어 있기 때문 - 이다. / 2.024 실체는 일어나는 것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존립하는 것이다. / 2.025 그것은 형식이며 내용이다.
-
2.141 그림은 하나의 사실이다. / 2.15 그림의 요소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서로 관게를 맺고 있다는 것은 실물들이 서로 그렇게 관계 맺고 있다는 것을 표상한다. / 그림 요소들의 이러한 연관은 그림의 구조라고 불리며, 그 구조의 가능성은 그림의 모사 형식이라고 불린다. / 2.172 그러나 그림은 그것의 모사 형식은 모사할 수 없다.; 그림은 그 모사 형식을 내보인다. / 2.19 논리적 그림은 세계를 모사할 수 있다.
-
2.222 그림의 참 또는 거짓은 그림의 뜻과 현실의 일치 또는 불일치에 있다.
-
3.031 사람들은 일찍이, 논리 법칙에 어긋나는 것만 제외한다면 신은 모든 것을 창조할 수 있노라고 말했다. - 요컨대 우리는 “비논리적” 세게에 관해서는 그 세계가 어떻게 보일지 말할 수 없을 것이다.” / 3.032 “논리와 모순되는” 어떤 것을 언어에서 묘사할 수 없는 것은 기하학에서 공간 법칙들과 모순되는 도형을 좌표로 묘사할 수 없는 것과, 또는 존재하지 않는 점의 좌표를 제시할 수 없는 것과 꼭 마찬가지이다. / 3.0321 우리는 물리학의 법칙에 역행하는 사태를 공간적으로 묘사할 수는 있지만, 기하학의 법칙에 역행하는 사태를 묘사할 수는 없다. / 3.04 선천적으로 올바른 사고는 그것의 가능성이 그것의 참을 조건부로 하는 사고일 것이다. / 3.32 기호는 상징에서 감각적으로 지각될 수 있는 것이다.
-
3.323 동일한 낱말이 상이한 방식으로 지칭하는 일 - 따라서 상이한 상징에 속하는 일 - 또는 상이한 방식으로 지칭하는 두 낱말이 외면상으로는 같은 방식으로 명제에서 사용되는 일이 일상 언어에서는 대단히 자주 나타난다. […] / 3.324 그래서 가장 기본적인 혼동들이 걸핏하면 생긴다. (철학 전체는 그러한 혼동들로 가득 차 있다.)
-
4.0031 모든 철학은 “언어 비판”이다. (그렇지만 마우트너의 뜻에서 “언어 비판”이라는 것은 아니다.) 러셀의 공격은 명제의 외견상의 논리적 형식이 바드시 그것의 실제 형식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
4,112 철학의 목적은 사고의 논리적 명료화이다. / 철학은 교설이 아니라 활동이다. / 철학적 작업은 본질적으로 주해들로 이루어진다. / 4.115 철학은 말할 수 있는 것을 명료하게 묘사함으로써, 말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
5.621 세계와 삶은 하나다. / 5.63 나는 나의 세게이다.(소우주.) / 5.632 주체는 세계에 속하지 않는다. 그것은 오히려 세계의 한계이다.
-
6.031 집합론은 수학에서 전혀 쓸데없는 것이다. / 이는 우리가 수학에서 필요로 하는 일반성이 우연적 일반성이 아니라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
6.375 필연성은 오직 논리적 필연성만 존재하듯이, 불가능성도 오직 논리적 불가능성만이 존재한다.
-
6.4 모든 명제들은 가치가 같다. / 6.43 선하거나 악한 의지가 세계를 바꾼다면, 그것은 단지 세계의 한계들을 바꿀 수 있을 뿐이지, 사실들을 바꿀 수는 없다. 즉 언어에 의해서 표현될 수 있는 것을 바꿀 수는 없다. / 간단히 말해서, 그렇다면 세게는 선악의 의지를 통해 전혀 다른 세계가 되어야 한다. 말하자면 세계는 전체로서 감소하거나 증가해야 한다. / 행복한 자의 세게는 불행한 자의 세계와는 다른 세계이다. / 6.44 세계가 어떻게 있느냐가 신비스러운 것이 아니라, 세계가 있다는 것이 신비스러운 것이다.
-
- 말할 수 없는 것에 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